전체 글47 OSI 7계층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 광섬유 MAC주소 CRC코드 1. OSI 7 계층 참조 모델의 개요 - 네트워크는 하드웨어적 연결과 통신을 할 수 있는 약속인 프로토콜로 나뉜다. - 이는 LAN과 인터넷에 똑같이 적용된다. - ISO에서 계층화된 네트워크 모델 개발할 것이다. - 물리 : 인접 기기 간 물리적인 연결 - 유무선 연결 - 데이터 링크 : 인접 기기 간 데이터 전송 및 오류 제어 - 네트워크 :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라우팅) - IP - 전송 : 인터넷에서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 - TCP - 세션 : 통신을 위한 세션을 만들거나 없앤다. - 표현 : 데이터의 암호화 - 응용 :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계층 : HTTP, FTP 1~3 계층(하위 계층) : 네트워크에서 두 컴퓨터 간 연결 설정 및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4~7 계층(상위 계층) .. 2022. 7. 15. 통신의 발전 네트워크 프로토콜 LAN WAN MAN PAN 대역폭 채널 컴퓨터 네트워크의 개요 1. 통신의 발전 과정 - 통신 : '정보 전송'이라고 정의, 한쪽의 정보를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 전기가 없던 시절 : 사람을 보내거나 말 같은 이동 수단 사용, 위험 신호나 조난 구조 요청 등 급한 메시지를 먼 거리에 전달할 때 연기를 이용한다. - 모스부호 : 최초로 전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 - 전기선에 미리 정해 놓은 짧은 음과 긴 음을 조합해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 - 전화기 : 연결된 선을 사용하여 부호가 아닌 사람의 음성을 전달한다. - 무전기 : 무선통신의 시초, 워터토키 = 걸으면서 말을 전할 수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 양쪽 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점에서는 한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 보통 무전기는 자신의 이야기가 끝나면 오버.. 2022. 7. 14. 저장장치 관리 파일 폴더 확장자 디렉터리 저장장치 관리 1. 파일 - 논리적인 데이터 집합으로 하드디스크나 CD같은 제2의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 구분하려고 확장자 사용한다. - 이미지 파일 포맷 : BMP, JPG, GIF, PNG 등 - 음악 파일 포맷 : MP3, WAV, OGG, AAC, FLAC 등 - 다양한 종류의 파일에는 헤더가 달려있다. - 파일 헤더에는 파일이름, 버전, 크기, 만든 날짜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파일 테이블 - 파일이 저장된 파일이름, 위치정보 등이 저장한다. - 모든 운영체제는 고유의 파일 테이블을 가진다. - 윈도우는 FAT, NTFS 유닉스는 i-node같은 파일 시스템 운영한다. #파일 종류의 확장자 - 실행 파일 | exe, com | CPU가 작업하는 프로세스 확장자 - 소스코드 파일 | c, cp.. 2022. 7. 14. 압축안하는 파일 비손실압축 손실압축 총정리 파일 압축 및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압축 안하는 파일과 비손실 압축, 손실 압축의 종류 및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종류마다 특징이 있으니 함께 연결지어 익히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파일 압축에 대해 아아보기 전, 트루컬러부터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트루컬러 - RGB은 각각 256가지 농도를 가지며 하나의 픽셀이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은 16777216가지이다 - 해상도가 가로 6000픽셀, 세로 4000픽셀의 전체 픽셀 수 : 6000*4000=24000000픽셀 24메가픽셀*3바이트 = 72MB 압축 안하는 파일 1. BMP - 이미지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이다. 2. GIF - 압축을 사용하지 않으나 파일 크기가 작다 - 사용할.. 2022. 7. 13. 리눅스 Linux 특징 정의 셀과 커널 개념 알아보기 Linux 리눅스와 셀, 커널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리눅스 Linux 특징 및 정의, 셀과 커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특징은 혼돈하기 쉽기에 제대로 익혀두는 게 도움이 된다. 리눅스 정의 리누스 토발즈가 UNIX 기반으로 개발해낸 것. 이식성이 뛰어나며 UNIX와 완벽하게 호환이 가능하다. 메인 프레임, 스마트 기기, 개인용 컴퓨터 등의 분야에 이용되는 공개용 운영체제이다. 리눅스 특징 1. 개방적인 소스 코드로 활용이 자유로운 오픈 소스 운영체제 2. 멀티 유저 시스템으로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 가능 3. 멀티태스킹 지원으로 한 번에 여러 작업이 가능 4. POSIX의 표준 규격을 따르고 있는 체제 5. 작성된 언어가 대부분 C언어이기에 타 시스템으로 이식이 편하다 6. 다중 스레드 지원으로 .. 2022. 7. 13. 프로세스 상태 메인메모리 관리 가상메모리 스왑영역 1. 프로세스 상태 - 컴퓨터 작업은 크게 일괄 처리 작업과 시분할 작업으로 나뉜다. - 일괄 처리 작업은 한 번에 1개만 처리, 과거 컴퓨터 초창기의 운영체제나 MS-DOS가 사용하던 방식이다. - 시분할 작업은 프로세스 여러 개가 아주 짧은 시간 동안 CPU 를 사용하는 방식, 프로세스 여러개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인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 - 사용자가 저장 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올라오고 해당 프로세스의 제어 블록이 생성된다. -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메모리에서 삭제되고 프로세스 제어 블록도 삭제된다.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관계 - 프로세스 = 프로그램 + 프로세스 제어블록 - 프로그램 = 프로세스 - 프로세스 제어블록 #프로세스의 주요 상태 1. 생성 상태 -.. 2022. 7. 13. 오디오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 양자화 GIF 나이퀴스트이론 1. 오디오 데이터 - 음악이나 목소리처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데이터 - 목소리나 새소리처럼 자연 상태의 오디오는 아날로그 신호로 크게 두가지 속성으로 나뉜다. #첫 번째 속성 : 저음과 고음 - 고음과 저음의 값을 나타내는 단위 : 헤르츠(Hz) - 1초에 한 번만 변하면 1Hz, 10Hz는 100Hz보다 저음 - 자연 상태의 소리는 다양한 주파수를 가진다. -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 범위 : 20Hz~20KHz(1초에 20000번) = 가청주파수 #두 번째 속성 : 큰 소리와 작은 소리 - 작은 소리와 큰 소리는 에너지의 양으로 표현한다. - 오디오 볼륨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은 파형을 그대로 두고 에너지의 양만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다.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변환 - 조밀하게 샘플링을 하여 원.. 2022. 7. 12. 멀티미디어와 아날로그 디지털 정의 손실 비손실 압축 알고리즘 1. 멀티미디어 - 문자,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등 복합적으로 만든 데이터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 다양한 데이터를 사용하면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은 높아지고 표현력이 풍부해진다. - 멀티미디어 파일의 종류는 파일 확장자로 구분한다. #이미지 파일 확장자 - JPG, GIF, BMP, PNG, TIFF, RAW #오디오 파일 확장자 - MP3, WAV, FLAC, OGG, AAC #동영상 파일 확장자 - AVI, MOV, MP4 - 멀티 미디어 대부분 = 아날로그 데이터 -> 디지털 데이터 - 파일 용량 크기 때문에 압축 알고리즘 사용한다. 2. 아날로그와 디지털 아날로그 - 연속적으로 변하는 값이다. - 자동차 속도계, 바늘이 달린 시계, 수은주 온도계, 레코드판에 녹음된 음악 등이 있.. 2022. 7. 12. 저장장치 특징과 종류 하드디스크 구조 하드웨어 사양 포트 규격 단자 1. 저장장치의 특징과 종류 - 메인메모리는 전자를 이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하드디스크나 CD 등 저장 장치는 구동 장치가 있는 기계라서 속도가 느리다. - 이렇게 느린 저장 장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장 용량에 비해 가격이 싸기 때문이다. - 저장 장치는 메모리보다 느리지만 싸고 용량이 크며 전원 공급과 상관없이 데이터를 영구 보관한다. #자성을 이용하는 장치 - 카세트테이프 - 플로피디스크 - 하드디스크 #레이저를 이용하는 장치 - CD - DVD -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를 이용하는 장치 - USB 저장 장치 - SD 카드 - CF 카드 - SSD 2. 하드디스크 - 최근 메모리 가격이 현저히 낮아지면서 USB메모리나 SSD 같은 반도체를 이용한 저장 장치가 많이 보급된다. - 하지만 아직도 .. 2022. 7. 12. CPU 성능 장치 메인 메모리 RAM ROM CPU 성능 장치 메인 메모리 RAM ROM에 대하여 CPU는 논리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의 성능은 클록을 높이고 캐시를 늘리기 등이 있다. 메인메모리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때 주소를 사용한다. 메인메모리는 RAM, ROM, DRAM 등으로 이뤄진다. CPU - 중앙처리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장치로, 인간의 두뇌에 해당한다. - 명령에 따라 계산을 하는 산술 논리 연산 장치, 다른 장치에 명령 신호를 내리는 제어 장치,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레지스터로 구성한다. - CPU는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의미로 프로세서라고도 한다. - 디지털 신호 처리 : DSP #산술 논리 연산 장치 - 명령을 하라고 주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덧셈, 뺄셈 등 산술 연산을.. 2022. 7. 10. 버퍼와 스풀러 차이점과 문제점 그리고 캐시란? 버퍼, 스풀러, 캐시에 대하여 버퍼는 두 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를 완화시켜 주고 스풀러는 버퍼와 비슷하며 대표적으로 프린터가 있다. 그리고 캐시는 CPU와 메인메모리 사이에서 속도 차를 완화해주며 버퍼의 한 종류다. 1. 버퍼 : 두 장치 간의 속도 차 완화 - 버퍼는 속도 차이가 나는 두 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이를 완화시켜 주는 장치다. - 일정 양의 데이터를 모아 옮김으로써 속도 차이를 완화시켜준다. - 같은 사양의 하드디스크라도 버퍼 용량이 큰 것이 더 빠르다. - 동영상 스트리밍 : 네트워크에 데이터가 들어오는 시간과 플레이어가 재생하는 시간 간에 속도 차이 발생한다. ->방지하고자 동영상 데이터의 일정한 양을 버퍼에 넣은 후 실행한다. 2. 스풀러 : 소프트웨어적 버퍼 - 소프트웨어적 버퍼, 버.. 2022. 7. 6. 이전 1 2 3 4 다음